공부하는 남자   



  • Key log

  • 공부 하는 남자
    검색 하는 남자

  • Log in out

  • 관리자

  • 편집

  • 글 쓰기

  • Link
  • Home
  • 생노병사 인격상실의 무서운 병 치매

    2015. 12. 13. 22:48   블로그와 감성

    소리 없이 찾아와 기억을 빼앗아 가는 병

    치매는 인간의 존엄성과 인격이 상실 되버리는 무서운 질병이다.

    자기 자신은 물론 가족 전체를 물질적 정신적으로 황폐화 시키는 것이 치매다.

    치매를 옛사람들은 노망 이라고도 했다.

    군왕의 치매를 말할때는 매병이라 불렀다.

    현대 서양의학적 용어로 퇴행성치매를 알츠 하이머 병이라고 하고 혈관성 치매를 루이체 치매라고 한다.

    통계층 자료에 따르면 2014년 기준 전국의 치매 환자수는 총 43만여명으로 집게 되고 있으며 해마다 4~5만명 이 증가 하는 추세라고 한다.

    특히 독거환자가 전체 환자의 18%나 된다고 하며 사회로 부터 방치 되어 각종 위험에 노출 되고 있는 실정 이다.

    치매 환자로 인한 사고와 사건도 증가 하고 있어 시급한 대책이 필요하다.

    특히 2020년을 기준으로 베이비부머 세대들의 노인세대로의 진입으로 인해 급격히 고령사회로 접어들 것으로 예상되고 있어 노인성 치매 환자들도 급격히 늘어 날것으로 예상된다.

    치매도 몇가지 원인에 의해 나누어 지는데

    나이를 먹고 노쇄 해 감에 따라 뇌의 기억 세포가 죽어  생기는 노인성치매 라고도 하는 퇴행성 치매와 뇌출혈과 같은 뇌의 혈관의 파열로 일어나는 혈관성치매가  있으며 그외에도 심한 충격에 의해 뇌손상으로 오는 치매와 뇌세포의 석고화가 원인인 치매등 다양 하다.

    이중 퇴행성 치매가 75%로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전에는 치매를 불치병으로 판단해 속수무책으로 방치 할수밖에 없었지만  눈부신 의약의 발달로 초기에 발견 하여 빠른 치료를 할경우 진행속도를 최장 20년이나  늦출수도 있다고 한다.

    여타의 질병처럼 치매도 전조증상을 보인다고 한다.

    방금전에 했든 일을 쉽게 잊어 버리는가 하면 기억을 떠올리는데 상당한 어려움을 겪게 된다면 치매를 의심 해 볼수 있다.

    밤중에 음식을 안먹든 사람이 야식을 많이 먹는 다든지 굶다가도 갑자기 음식을 한끼에 모두어 먹는다 든지 반대로 식사량이 현저히 줄어 드는 등의 식습관의 형태가 바뀌는 경우도 있고 신것,단것을 좋아 하지 않든 사람이 신것을 좋아 한다든지 단것을 좋아 하게 되는 등 입맛이 변하게 되는 경우에도 치매의 전조일 수 있다.

    초기치매와 건망증은 비슷 하게 보이지만 자세히 관찰 해 보면 다르다.

    건망증은 잊어 버리지만 단서를 제공하면 기억을 해내는 반면 치매는 기억자체가 삭제되어 기억 해내지 못하는 것이 특징이다.

    치매 환자 모두 증상이 다 똑같이 진행되는것이 아니고 기억이 저장된 뇌세포의 손상 부위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나게 되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이전에 가진 기억 중의 일부는 기억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기억으로 현재에 대응시켜 행동하게 되므로 보는 사람들을 안타깝게 한다.

    간혹 드라마중에 할머니가 손자를 보고 여보 라며 반기는 웃지 못할 장면을 목격 하게 되는데 이는 자신의 현재 상태를 인지 하는 뇌세포가 망가지고 이전의 젊은 시절에 대한 기억 세포가 존재 하게 될 경우 그리고 그 일부도 어느 일부분이 지워진 상태 라면 자신이 지금 젊은 그 시절 남편과 함께 하고 있다고 착각하게 되는데다 그일부 마져 지워지다보니 그대상을 완전하게 기억 하지 못하고 자기 손자를 남편으로 여기게 되는 것이다.

    치매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뇌기능을 많이 활용하는 단어나 낱말 외우기나 화투놀이 같은 것이 좋다고 한다.

    은은한 꽃향기는 뇌를 자극해 뇌활성도를 높히게 되므로 치매의 예방 효과가 뛰어 나다고 한다.

    특히 평소 하루 일정시간 이상을 걷는 것 역시 치매를 예방 하는 효과가 탁월 하다고 하니 걷기 운동을 꾸준히  하도록 한다. 

    치매 환자에게는 의사의 처방에 따른 약물 투여와 가족의 관심과 사랑이 치매의 진행속도를 현저히 줄여 주게 된다고 한다.


    " 아래 부분에는 필자의 부친에 대한 치매 간병기를 기록한 개인사 가 담긴 일기가 숨겨져 있습니다만 보고 싶으시면 "치매일기"를 폼에 기입후 확인 클릭 하면 볼수 있습니다."

     

    T,back:     Comment: